본문 바로가기
거북이 키우기

거북이의 교미와 산란

by 쪼꼬비 2022. 10. 13.

거북이는 동면 과정을 마치고 나면 신체적으로 교미를 원하게 됩니다. 그들의 유전자에는 추운 겨울을 지나면 자손번식을 위한 본능을 자극하나 봅니다. 거북이들의 교미와 산란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거북이 교미에 대하여 

 

동면을 마친 거북이들을 합사 시켜 주면 서로 구애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암컷을 따라다니고, 붉은귀 거북의 경우 긴 발톱을 암컷의 얼굴 근처에 대고 매우 빠르게 떨거나 흔듭니다. 이후 암컷이 교미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면 수컷은 뒤에서 암컷을 올라타고, 발톱을 암컷의 배갑에 걸고 몸을 고정시키고, 꼬리를 암컷의 꼬리 밑으로 넣어 암컷의 총배설강과 맞대어 교미를 시작합니다. 

 

수생 거북의 경우 적당한 넓이의 장소를 제공해 줘야 하고 물속에서 교미를 하다가 호흡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물높이를 너무 높지 않게 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교미를 하게 되면 대략적인 산란 날짜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교미를 하면 날짜를 기록해 두면 됩니다. 교미를 마친 암컷 거북은 임신기간 동안 수컷이나 다른 거북과 분리하여 단독 사육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알을 갖게 되면 암컷은 자신의 몸과 몸속의 알을 따뜻하게 유지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일상적인 사육온도보다 좀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사육사는 교미 후 암컷의 행동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2. 거북이 산란에 대하여 

 

산란은 천적의 위험이 적은 밤이나 새벽에 이루어지지만, 사육을 하는 경우 언제든지 산란을 하게 됩니다. 산란공간에 거북이가 산란을 마치면 구덩이를 파고 알을 덮는 행위를 하려다가 알이 깨지기도 하므로, 바로 인큐베이터로 옮겨야 합니다. 

 

암컷은 산란 때가 되면 수조 밖으로 탈출하려고 하고, 동종에 대해 공격을 하기도 하는 등 불안 증세를 보입니다. 바닥재를 마구 파헤치기도 하니 그런 증상이 보이면, 조용한 산란 장소로 옮겨줘 산란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산란 장소는 습기가 어느 정도 있고, 따뜻한 곳이 좋으며 어둡게 하면 거북이가 좀 더 안정을 취할 수 있습니다. 산란장은 거북이가 들어갈 정도의 넓이에 부드러운 바닥재를 거북이 등갑 넓이 이상의 깊이로 충분히 깔아 주어야 합니다. 

 

바닥재는 건조하면 안 되고, 어느 정도 습기를 머금어야 합니다. 온도도 지나치게 낮으면 거북이가 산란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온도를 맞춰 줘야 하는데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면, 습기가 날아가서 좋지 않습니다. 산란에 적당한 온도는 섭씨 28~30도입니다. 

 

보통 산란은 2회 이상하는데, 1회 산란 후에 손으로 만져서 알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산란을 모두 마쳤다고 판단될 때까지 여러 번 산란장에 거북이를 넣어 줘야 합니다. 거북이는 알을 낳고 새끼를 돌보지 않기 때문에 사란을 마치면 바로 알을 꺼내 인큐베이터에 넣어 줍니다. 

 

인큐베이터에 옮길 때는 알 표면에 붙은 오염물질을 닦아줍니다. 물로 깨끗하게 씻을 필요는 없고 가볍게 털거나 닦아주는 정도가 좋겠습니다. 가끔 산란환경이 갖춰지지 않았을 때는 수조 안 물속에 알을 낳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대부분 무정란이거나 바로 인큐베이터로 옮겨도 부화가 되기는 힘듭니다.

 

 

3. 거북이 인공부화에 대하여 

 

거북이가 알을 산란하면 알의 윗부분을 표시하고 옮기는데, 알의 상하가 바뀌면 발생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위아래 위치를 잘 확인해서 인큐베이팅에 넣어야 합니다. 

 

산란일자를 기록하고, 알을 낳은 거북이 종을 표시해 둡니다. 인큐베이팅 설정 온도와 습도를 기록해 두는데 온도에 따라 대략적인 성별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인큐베이팅 온도는 알의 발생 속도와 성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파충류의 알이 대부분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므로 온도의 조절로 원하는 성별을 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알의 발생이 진행 중이라면 부화일까지 이동시키거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자주 확인해야 합니다. 

 

 


거북이의 동면과 동면 준비에 대하여

 

거북이의 동면과 동면 준비에 대하여

거북이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겨울을 적응하기 위해서는 체내의 대사량을 줄이고 체온을 낮춰 추위를 버티는 것입니다. 동면이 필요한 이유는 온도변화에 따른 생식주기를 맞추기 위해서입니

endingnotefind.tistory.com

거북이 성별 구분방법

 

거북이 성별 구분방법

거북이를 비롯한 파충류의 암수구분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저도 거북이를 종류별로 5마리 이상 키워보았으나, 토종자라 말고는 암수구분을 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토종자라는 꼬리의 굵

endingnotefin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