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이 교미3 거북이의 교미와 산란 거북이는 동면 과정을 마치고 나면 신체적으로 교미를 원하게 됩니다. 그들의 유전자에는 추운 겨울을 지나면 자손번식을 위한 본능을 자극하나 봅니다. 거북이들의 교미와 산란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거북이 교미에 대하여 동면을 마친 거북이들을 합사 시켜 주면 서로 구애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암컷을 따라다니고, 붉은귀 거북의 경우 긴 발톱을 암컷의 얼굴 근처에 대고 매우 빠르게 떨거나 흔듭니다. 이후 암컷이 교미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면 수컷은 뒤에서 암컷을 올라타고, 발톱을 암컷의 배갑에 걸고 몸을 고정시키고, 꼬리를 암컷의 꼬리 밑으로 넣어 암컷의 총배설강과 맞대어 교미를 시작합니다. 수생 거북의 경우 적당한 넓이의 장소를 제공해 줘야 하고 물속에서 교미를 하다가 호흡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물높이를.. 2022. 10. 13. 거북이의 동면과 동면 준비에 대하여 거북이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겨울을 적응하기 위해서는 체내의 대사량을 줄이고 체온을 낮춰 추위를 버티는 것입니다. 동면이 필요한 이유는 온도변화에 따른 생식주기를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동면을 하고 나면 거북이들은 생존활동으로 교미를 시작하게 됩니다. 1. 동면 준비 동면을 위한 개체는 크고 튼튼한 거북이를 선택해야 합니다. 동면 중에 체중과 영양손실이 크기 때문에 당연히 건강한 개체를 준비해야 하며, 영양상태가 좋아야 하므로 사료를 골고루 잘 먹여야 합니다. 이는 여느 다른 동물들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리고, 동면 한달 전부터 금식을 통해 몸속의 모든 음식물을 배출해야 합니다. 몸 속에 음식물이 남아 있으면 동면 중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온욕을 통해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장속에 모여있는 대변과 요.. 2022. 10. 10. 거북이는 신체적으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거북이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생물이 아닙니다.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와는 판이하게 다른 외모를 가지고 있어 그 신체적인 구조에 대해 정리가 필요합니다. 거북이를 키우고자 한다면, 거북이가 외형적으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공부해 봅시다. 1. 배갑(등껍질)과 복갑(배껍질) 용어가 헷갈립니다. 저는 처음에 등껍질이 등갑인 줄 알았고, 배갑이 배껍질인 줄 알았어요. 여러분들은 헷갈리지 않게 알아두세요. 배갑이 '배'는 '등 배'라는 한자고, 복갑의 '복'은 '배 복'이라는 한자입니다. 거북이는 다른 파충류와 다르게 단단한 갑주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일무이한 특징입니다. 특히 배갑은 아치형 구조 때문에 물리적인 충격에 상당히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육지거북과 수중거북이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육지거북은.. 2022. 9.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