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북이 키우기11

겨울철 대비 빔스팟 램프 준비하기 거북이를 키우면서 겨울철을 나기 위해서는 히터기만 준비해서는 부족합니다. 반수생 거북이인 경우에는 스팟 램프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 이유는 반수생 거북은 하루 중 절반은 거북이 육지에서 등갑을 말리기 때문입니다. 1. 겨울철 스팟램프의 필요성 스팟 램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반수생 거북이의 입장을 생각해 봅시다. 수생거북은 물속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히터기에 온도를 28도 이상으로 맞춰 놓으면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때문에 수생거북을 관리하는 것은 반수생 거북을 관리하는데 비해 조금 편리합니다. 하지만 반수생 거북은 하루 중 절반 또는 대부분을 육지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이런 경우 물의 온도만 높여 놓여서는 거북이를 관리하기 어렵습니다. 반수생 거북의 경우 육지에서 .. 2022. 10. 9.
생활환경에 따른 사육장 만들기 거북이의 생활환경은 완전히 물속에서만 생활하는 수생 거북, 육지와 물을 오가면서 생활하는 반수생 거북, 수영이 서툴러 축축한 곳에서 사는 습지 거북, 완전히 육상에서만 생활하는 육지 거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각 사육장을 어떻게 꾸미는 것이 좋을지 알아봅시다. 1. 수생 거북 사육장 완전수생 거북이의 사육장은 가장 꾸미기 쉽습니다. 수조를 관리하는 것도 역시 가장 용이합니다. 열대어나 물고기를 키워본 분이라면 수생 거북의 사육장 꾸미는 것이 그렇게 어색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늑대거북이나 악어거북은 수영실력이 그렇게 좋지 못하기 때문에 거북이 크기에 따라 수위를 조절해 주면 됩니다. 덩치가 크고 힘이 셀수록 수조 내부의 장비를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여과기나 히터기를 설치할 때 조심하면 됩니다.. 2022. 10. 6.
거북이 여과재 종류와 특징 여과재는 여과기 안에 충전하는 여러 가지 재료를 말합니다. 종류가 다양한데 여과 성격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물리적 여과재, 생물학적 여과재, 화학적 여과재인데 그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물리적 여과재 말 그대로 물리적인 찌꺼기나 부유물을 제거하는 재료를 말합니다. 여과솜, 여과매트, 여과링 등의 재료가 대표적인데, 여과솜이나 여과매트의 경우 촘촘한 것보다는 성긴 것이 물리적 여과력이 더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여과링을 채워 넣으면 물리적 여과력이 높아 집니다. 단순하게 말하면 물리적 여과재는 필터 작용으로 거북이를 키울 때 주로 대변을 걸러내기에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사실 거북이를 키우는데 물리적 여과재만 있어도 초반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여과재는 여.. 2022. 10. 3.
수생거북의 열원(히터기) 사용 안내 변온동물인 거북이는 외부의 열원을 통해 체온을 조절합니다. 수생 거북인 주로 물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물의 온도에 매우 민감합니다. 따라서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에서 거북이를 키우려면 히터기를 통해 수온을 조절해 주어야만 겨울에 거북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습니다. 1. 히터기의 종류와 주요 기능 수생 거북의 주요 열원을 공급하는 히터기는 여름철에는 필요가 없고, 늦가을에서 초봄까지 사용을 하는 사육장비입니다. 수생 거북을 키우는 분들은 히터기를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겨울을 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 고장을 대비해서 여분의 히터기를 준비하는 것도 요령입니다. 실제로 저는 한겨울에 히터기가 고장 나서 키우던 토종 자라가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급하게 추가 히터기를 주문하고, 집에서 주전자에 물을 끓어 더.. 2022. 10. 2.